1. 실행 컨텍스트란

실행가능한 자바스크립트 코드 블록이  실행되는 환경이다.

 

함수가 실행되면 함수 실행에 해당하는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되고,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있는 콜스택에 차곡차곡 쌓인다.

그리고 가장위에있는 컨텍스트와 관련 있는 코드를 실행하면서, 전체 코드의 환경과 순서를 보장하게 된다.

 

 

 

아래의 예제로 이해보자

let santa = false; // 전역 컨텍스트
var rudolf = false;
function christmas() {	
  let santa = true;

  function givePresent() { 
    let gift = "cat";
    console.log(gift); // cat
    console.log(santa); // false
    console.log(rudolf); // false
  }

  givePresent(); // (2)
}

christmas(); // (1)

 

이런 코드를 실행하려고 하면 

처음으로 전역 컨텍스트가 호출 스택에 추가된다

실행컨텍스트가 호출스택에 쌓여가는 과정을 그림으로 그려 이해해보자

 

2. 실행 컨텍스트의 구성

 

2-1. 전역 컨텍스트의 생성

 

전역 컨텍스트란

코드가 실행되면 바로 생성되며, 컨텐스트중 제일 먼저 호출스택에 저장되는 컨텍스트이다.

생성단계에서 let으로 선언한 변수인 santa는 선언만되고 초기화는 이루어지지않고,

var로 선언된 rudolf는 선언과 동시에 undefined로 초기화가 이루어진다.

 

christmas() 도 함수선언문으로 선언되어서 호이스팅이 일어나 생성단계에서 전역컨텍스트에 기록된다

 

2-2. 전역 컨텍스트의 실행

 

전역컨텍스트가 실행단계로 들어간다. 이과정에서 함수 호출, 식별자 할당 등이 이루어진다.

초기화 되지 않아 아무 값이 없던 santa가 false로 할당 된다.

 

2-3. 함수 컨텍스트의 생성 christmas()

 

전역컨텍스트가 생성된이후 가장 먼저 호출되는 함수는 christmas() 이다.

따라서 호출스텍에 전역 컨텍스트 다음으로 christmas() 함수 컨텍스트가 쌓이게된다.

 

 

2-3. 함수 컨텍스트의 생성 givePresent()

 

christmas 함수 내부에서 givePresent 함수를 선언하고 호출한다.

따라서 givePresent 함수 컨텍스트가 호출 스택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의문점?

let santa = false; // 전역 컨텍스트
var rudolf = false;
function christmas() {	
  let santa = true;

  function givePresent() { 
    let gift = "cat";
    console.log(gift); // cat
    console.log(santa); // false    -------->>>>>> 어떻게 호출??
    console.log(rudolf); // false  ------->>>>>> 어떻게 호출??
  }  

  givePresent(); // (2)
}

christmas(); // (1)

 

이해하던도중 그렇다면  givePresent 컨텍스트를 실행할때 어떻게 chrismas에있는 컨텍스트에 있는 santa를 호출할수있었을까??

라는 의문점이 든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실행컨테스트에 특수한객체인 outer를 이해해야한다.

 

 

3. outer 

console.log(gift)

1. gift의 값을 가져오기위해 givePresent 함수 컨텍스트의 환경 레코드를 참조한다.

2. givePresent 함수 컨텍스트의 환경 레코드에서 gift의 정보를 찾았기 때문에 console.log()를 문제없이 호출한다.

 

console.log(santa)

1. santa 의 값을 가져오기위해 givePresent 함수 컨텍스트의 환경 레코드를 참조한다.

2. 환경레코드에서 santa의 값을 찾지 못한다.

3. outer를 이용해 외부 렉시컬 환경인 chrismas 함수 컨텍스트로 이동후 환경레코드를 탐색한다.

4. santa 값을 찾으며 console.log()를 문제없이 호출한다.

 

console.log(rudolf)

1. rudolf의 값을 가져오기 위해 givePresent 함수 컨텍스트의 환경 레코드를 참조한다.

2. 환경레코드에서 rudolf의 값을 찾지 못한다.

3.  outer를 이용해 외부 렉시컬 환경인 chrismas 함수 컨텍스트로 이동후 환경레코드를 탐색한다.

4. 환경 레코드에서 rudolf를 찾지못해 outer를 이용하여 전역 컨텍스트로 이동한다.

5. 환경레코드를 탐색하여 rudolf를 찾고 console.log()를 문제없이 호출한다.

 

 

4. 스코프 체인(scope chain)

위에서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해당 영역에서 식별자를 찾는데 발견하지 못했을때 outer를 이용해여 외부 렉시컬 환경, 즉

외부 영역으로 이동하여 식별자를 찾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식별자를 찾기위해 외부스코프로 이동하여 탐색하는 현상을 스코프 체인이라고 한다.

 

 

 

이글을쓰게된이유는 forEach()문에서 break 가되지않아서 

디버깅하면서 많이 해맸기때문에 포스팅을하게되었다.

 

이참에 반복문과 데이터를 가공하는 기본을 다져보자

 

 

다른블로그에서 퍼온글이다.

forEach() 하고 map() 함수는둘다 break가 되지않는거구나

 

 

 

실무에서 많이썻던 map() 부터 먼저살펴보고자한다

1. 새로운배열을 만들땐 -> map()을 사용

// chapter1
let array1 = ["크러쉬", "뷔", "태민"];

let arrayList1 = array1.map(function (item) {
return item + "가수";
});

console.log(arrayList1);

//결과 [ '크러쉬가수', '뷔가수', '태민가수' ]

새로운배열을 return해서 그변수에 값을 담아줬다.

 

 

 

let array = [
{ name: "크러쉬", age: "31살" },
{ name: "뷔", age: "28살" },
{ name: "태민", age: "30살" },
];

let arrayList = array.map(function (item) {
return { realName: item.name, realAge: item.age };
});

console.log(arrayList);

//결과 [
// { realName: '크러쉬', realAge: '31살' },
// { realName: '뷔', realAge: '28살' },
// { realName: '태민', realAge: '30살' }
// ]

List데이터의 key이름도 바로 수정이가능하다.

 

 

 

2. 특정조건의 데이터만  반환하고자할때 -> filter()을 사용

 

 

let array2 = [
{ food: "치킨", category: "food", price: 16000 },
{ food: "피자", category: "food", price: 30000 },
{ food: "운동", category: "exercise", price: 0 },
];

let filter2 = array2.filter((item) => item.food === "치킨");
console.log(filter2);
// 결과 [ { food: '치킨', category: 'food', price: 16000 } ]

특정조건에서 참일때의 데이터를 반환해준다.

 

 

let filter3 = array2.filter((item) => item.category === "food");

var filter31 = filter3.map((item) => {
return {
food: item.food,
price: item.price,
kcal: "200kcal",
};
});

console.log(filter31);
//결과
// [
// { food: '치킨', price: 16000, kcal: '200kcal' },
// { food: '피자', price: 30000, kcal: '200kcal' }
// ]

map 과 filter를 병행해서 사용할수도있다.

 

3. 단순반복할때는 forEach()

const array = ["만두", "강정"];
const newArray = [];

array.forEach(function (data) {
newArray.push(data + "음식");
});

console.log(newArray);

return 문이 없어 새로운 배열에 값을 넣어줬다.

 

 

foreach 에서  break를 해주고싶을땐 try catch문을 사용해서 return 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럴때는 for문으로 break를 표현해주는 방법이있다.

 

 

 

1.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거의 모든것은 객체이다. 

boolean, number, string, null, undefined 빼고

이를 제외한 모든 것은 객체이다.

하지만 boolean, number, string도 객체처럼 다룰수있다.

 

2. 함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객체로 취급한다

 

3. 프로토타입

모든객체는 숨겨진링크인 프로토타입을 가진다.

이 링크는 해당 객체를 생선한 생성자의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리킨다.

 

4. 실행 컨텍스트와 클로저

자바스크립트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실행 컨텍스트를 만들고 실행이이뤄진다.

이 실행 컨텍스트는 자신만의 유효범위를 갖는데 이과정에서 클로저를 구현할수있다.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

 

자바스크립트 코딩하면서 함수자체를 리턴하는 함수를 보았을 것이다.

 

 

1. 하나의 함수를 만들고 값을 리턴한다

function hello() {
  return "hello world";
}

hello();

 

2. 하나의 함수를 만들고 익명함수를 리턴한다

function hello() {
  return function world() {
    return "hello world";
  };
}

hello();

 

어떨때 함수를 리턴하는것을 사용할까?

예시를 들어보자

 

 

1. 3개의 버튼 마다 1의 로그가찍히는 이벤트 리스너등록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utton id="c1">C1</button>
    <button id="c2">C2</button>
    <button id="c3">C3</button>
    <script>
      function c() {
        console.log(1);
      }

      document.getElementById("c1").addEventListener("click", c);
      document.getElementById("c2").addEventListener("click", c);
      document.getElementById("c3").addEventListener("click", c);
    </script>
  </body>
</html>

addEventListener 의 두번째 인자는 함수를 처리해야한다.

만약 c1버튼을 누르면 1, c2버튼을 누르면 2를 호출하고싶다면

 

 

2. 3개의 버튼클릭시 c(n) 호출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utton id="c1">C1</button>
    <button id="c2">C2</button>
    <button id="c3">C3</button>
    <script>
      function c(n) {
        console.log(n);
      }

      document.getElementById("c1").addEventListener("click", c(1));
      document.getElementById("c2").addEventListener("click", c(2));
      document.getElementById("c3").addEventListener("click", c(3));
    </script>
  </body>
</html>

보기엔 잘동작할거같지만 함수 실행이안된다.

c() 로 하는순간 이벤트 리스너에게는 함수가 등록되는것이아닌 리턴값이 넣어지게된다.

그렇다면 이럴때 익명함수 리턴을 사용한다

 

 

2. 3개의 버튼클릭시 c(n) 호출 (리턴함수 사용)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utton id="c1">C1</button>
    <button id="c2">C2</button>
    <button id="c3">C3</button>
    <script>
      function c(n) {
        return function () {
          console.log(n);
        };
      }

      document.getElementById("c1").addEventListener("click", c(1));
      document.getElementById("c2").addEventListener("click", c(2));
      document.getElementById("c3").addEventListener("click", c(3));
    </script>
  </body>
</html>

이렇게한다면 c1 버튼 1 리턴, c2버튼 2리턴, c3버튼 3리턴이된다.

c() 로하는순간 이벤트 리스너에게는 리턴값이 넣어지므로

함수를 리턴시키면 -> 리턴값이함수이고 -> 함수등록이기때문에  

동작이가능하게된것이다.

 

이러한 기법으로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를 이용할수있다.

변수, 함수, 클래스 내보내기

// 배열 내보내기
export let foods = ["pizza", "hamburger", "chicken"];

// 상수 내보내기
export const MODULES_BECAME_STANDARD_YEAR = 2015;

// 클래스 내보내기
export class User {
	construcor(name) {
    	this.name = name;
    }
}

// 함수 내보내기
const App = () => console.log("hello");
export default App;

// 모듈 내보내기
export { name1, name2 as yeji, ..., nameN} 	// does not set the default export

 

함수 가져오기

import {sayHi, sayBye} from "./say.js";



// say.js
const sayHi = () => console.log("hello");
const sayBye = () => console.log("bye");

const etcHi = () => console.log("bye");
const etcBye = () => console.log("bye");


export default {sayHi, sayBye};

원하는 함수만 import 선언해주면 빌드툴은 선언되지않은 함수는 최종 번들링 결과물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코드가 제거되기 때문에 빌드 결과물의 크기가 작아집니다. -> tree-shaking

 

모듈 export default

 

모듈은 크게 두종류로 나뉩니다.

 

1. 복수의 함수가 있는 라이브러리 형태의 모듈

2. 개체 하나만 선언되어있는 모듈

 

대체로 두번째 방식으로 모듈을 만드는걸 선호 합니다.

 

// user.js
export default class User {
	constructor(name) {
    	this.name = name;
    }
}

// main.js
import User from "./user.js"; // default 한 모듈을 가져오려면 중괄호가 필요 x

new User("john");

export default를 사용하면 해당 모듈엔 개체가 하나만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

최대 하나의 default export가 있으므로 내보낼 개체에 이름이 없어도  해당 모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예)

export default class {	//클래스 이름이 없음
	constructor() {...}
}

export default () => console.log("say hello"); // 함수 이름이없음

export default ["jan", "yeji", "yunrap"]  // 이름없이 배열형태의 값내보냄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함수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러한 함수를 얼마나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가 따라서 고급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로 거듭날수있다.

함수표현법에서 ECMAScript 6 버젼인 arrow function 의 사용법이있다.

 

우선  ECMAScript가 뭘까? Ecma 기관이만든 script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를 개발한 Netscape 가 더 향상된 표준화를 위해 기술 규격을 ECMA에 제출 했고 그에 따라 새롭게 제정한 표준이
ECMA-262이다. 즉  ES6 표준을 따른다는 말은 ECMAScript 2015가 사용중인 ECMA 규격을 따라서 문법을 사용한다라고 알면된다.

년도를 붙여서 사용하므로 ECMAScript 2015(=ES6)는 2015년 에배포된 버젼,

최근에나온 버전은 ES2020(=ES11) 버전까지있다. ES11 버전이나왔지만 ES6는 기존의 문제의 해결,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이 보강된 문법이 대거 추가되서 아직 많이사용중이다.

 

여기까지 알고 ES6의 화살표함수에대해 알아보자

 

 

1.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블로그 copy 포스팅

 

- 함수 표현방법 1

// 기존의 함수표현식방식
const func1 = function()  {
	const num = 10;`
};

// 익명함수 = 화살표함수 = 함수를 변수에 할당
// function 키워드 생략
const func2 = () => { 
	const num = 10; 
}; // function 키워드 생략 가능

// 함수의 매개변수에 괄호 생략가능
const func2 = num => {
	const sum = num;
}

// 표현식이 하나라면 중괄호와 return 문 생략가능
const func3 = num => `입력된 숫자는 ${num}입니다.`;

 

 

 

mdn 사이트 포스팅

 

- arrow funtcion 특징

1. this나 super에 대한 바인딩이 없고, methods로 사용될수 없습니다.

2. new.target키워드가 없다

3. 일반적으로 스코프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call, apply, bind methods를 이용할 수 없다.

4. 생성자로 사용할 수 없다.

5. yield를 활살표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수 없다.

 

 

- 함수 표현방법 2

// 객체 리터럴 표현을 반환하기위해서는 함수 본문을 괄호 속에 넣음
params => ({ yeji : 28 })

// 나머지 매개변수 및 기본 매개변수를 지원함
(param1, param2, ...rest) => { statements }
(param1 = defaultValue1, param2, paramN = defaultValueN) => { statements }

// 매개변수 목록 내 Destructuring assignment 지원
var f = ([a, b] = [1, 2],  {x, c} = {x, a + b}) => a + b + c;
f();	// 6

 

 

 

arrow function 을 알아봤다면 this의 개념에대서 알아보자

 

 

 

2. 함수 호출과 this 

블로그 copy 포스팅

 

자바에서는 this 키워드를 익숙하게 써왔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의 this는 자바처럼 단순하지 않다.

 

1. 함수실행

2. 메소드(함수 내부) 실행

3. 생성자 실행

4. 간접 실행

 

 

 

- 함수실행에서 this

함수 실행에서 this는 전역객체를 가르킨다.

 

하지만, es6에서 arrow function안에서 존재하는 this는 정적(lexically)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전역객체인(window)가아닌 

맥락상 위의 코드부터 보고 결합을 시키게된다.

 

const o = {
    name: "yeji",
    speak: function() {
        getName = () => {
            return `${this.name}`;
        }
     return `My name is ${getName};
    }
};

o.speack() // My name is yeji

 

- 메소드 실행

바로 arrow function을 객체안에쓴다면 this를 불러올수없다.

const obj = {
    a: "hi",
    b: () => console.log(this.a);	// undifined
    c: function () {
        console.log(this.a);	// "hi"
    }
}

 

보통 많이사용하는 법 (

const obj = {
    a:"hi",
    b:function() {
    	 console.log(this.a);	// "hi"
    },
    c:function() {
        console.log(this.a);	// "hi"
    }
}

obj.b();
obj.c();

만약에  arrow function을 사용하고싶다면?

const obj = {
	a: "hi",
    b: function () {
    	return(() => console.log(this.a));
    },
    c: function () {
    	console.log(this.a)
    }
}

obj.b();
obj.c();

 

 

이렇게 IIFE 형식으로 사용하면된다. (IIFE 형식은 다음에 포스팅)

 

 

 

 

 

- 생성자 실행

.....포스팅중

+ Recent posts